뉴스클리핑
● 악성코드 공정위 사칭 '상거래 위반조사 통보' 메일 주의보
원본기사: http://www.daejonilbo.com/news/newsitem.asp?pk_no=1442678
(범주: 피싱 메일 주의)
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서 새롭게 등장한 랜섬웨어, 말락커 원본기사: https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91711
(범주: 랜섬웨어 말락커)
● 어플리케이션 넷플릭스의 보안 엔지니어가 말하는 넷플릭스의 위험 관리 방법
원본기사: https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91689&page=1&kind=1
(범주: 넷플릭스 / 보안 위험 관리)
구글 '크롬', 韓시장 57% 차지…"정부, 개인정보 침해 주의해야" 원본기사: https://newsis.com/view/?id=NISX20201006_0001188609&cID=13001&pID=13000
(범주: 크롬)
● 네트워크
애플 웹사이트에 '심각한' 보안취약점 무더기 발견돼
원본기사: https://www.ajunews.com/view/20201011153245348
(범주: 애플 보안취약점) MS 연합체, 악성코드 확산 경로 '트릭봇' 해체 실패 원본기사: https://zdnet.co.kr/view/?no=20201014135455
(범주: 트릭봇)
● 시스템 보안 강화 내세웠던 애플 T2 칩, 치명적 결함 발견 원본기사: https://zdnet.co.kr/view/?no=20201008143225
(범주: T2 칩 취약점)
리눅스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 심각한 ‘블리딩투스’ 취약점 나와 원본기사: https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91808&page=1&kind=1
(범주: 리눅스 / 블리딩투스)
● 주요 사건 · 사고 “중국경유 군 전산망 해킹 공격 3년 새 10배 늘어” 원본기사: http://www.hani.co.kr/arti/politics/defense/965221.html
(범주: 군 전상망 해킹 공격)
은행 대신 사기꾼이 전화를 받는다? ‘전화 가로채기’ 수법 주의 원본기사: https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91701
(범주: 보이스 피싱 주의)
● 보안 · IT업계 동향 파이브 아이즈와 일본·인도, 암호화 기술에 대한 백도어 요구 원본기사: https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91697
(범주: 파이브 아이즈)
해커, 취약점 정보 판매 활발…"월 1억원치 팔려" 원본기사: https://zdnet.co.kr/view/?no=20201015152949
(범주: 취약점 정보 판매) |